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정보마당

평화와 자유를 사랑하는 세계인들 누구나
유엔참전용사의 희생에 감사하고 추모할 수 있습니다.

언론보도

유엔기념공원과 관련한 신문, 잡지 등의 "언론 보도기사 모음" 입니다.

2022.10.10 국제신문/ "가족 보살피며, 한국도 지키러 간 형은 나의 영웅"

 

"가족 보살피며, 한국도 지키러 간 형은 나의 영웅"

UN공원에 잠든 용사들…아직 끝나지 않은 이야기 <5> 캐나다군 故 제임스 크리스토프

 

- 1930년생 형, 15남매 중 여덟째

- 어린 나이 학교 대신 일터 전전
- 1952년 친구와 함께 자원입대

- 한국전쟁 참전 후 1953년 전사
- 친구들 추모 시·편지 등 보내와
- "당시 형이 보내온 사진 속 여성
- 찾아서 전쟁 때 이야기 듣고파"

- 유엔공원 두 번 찾은 막냇동생
- "감사하는 한국인 마음 알게 돼"

“한국전쟁 참전 중 형이 가족에게 보낸 사진에 한 여성이 함께 찍혀 있는데, 이 여성을 찾고 싶어요. 사진만 봐서는 알 수 없지만, 형과 아주 가까운 사이 같은데 당시 내가 11살이라 더는 정보를 알 수 없어 답답하네요.”

 

 

한국전쟁에 참전해 전사한 캐나다군 고 제임스 크리스토프 씨가 생전에 취미로 복싱을 즐기는 모습.
존 크리스토프 씨 제공

 

 

 

한국전쟁에 참전해 전사한 캐나다군 고 제임스 크리스토프 씨의 막냇동생 존 크리스토프(81) 씨는 오래된 흑백 사진 한 장을 취재진에 보내왔다. 이 사진에는 한국전쟁 중 크리스토프 씨의 형과 한 여성이 다정하게 어깨동무한 모습이 담겼다. 크리스토프 씨는 이 여성이 형의 한국 이야기를 더 알고 있지 않을까 추측했다. “형이 한국에서 지냈던 이야기를 간직하고 있는 분일 것 같다. 언뜻 보면 여자친구처럼 보이기도 한다. 이분을 찾게 되면 우리 형을 기억하는지 묻고 싶다.”


■가족이 기다린 형의 귀환 

 

그는 10대 때부터 일터를 전전했던 형의 모습을 뚜렷하게 기억했다. 1930년 12월 캐나다 노바스코샤의 글라스베이에서 15명의 남매 중 8번째로 태어난 형은 이른 나이에 학교를 떠나 일터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냈다. 14살 때 파트 타임 직업을 구했고 16살 때까지 한 니트 제조회사에서 기계를 가동하는 일을 했다. 17살에는 농장으로 일터를 옮겼고, 19살에는 집으로 돌아와 아버지와 다른 형제처럼 한 광산의 광부로 일했다. 하루는 광산에서 동료가 숨지는 모습을 목격했고, 충격을 받은 형은 더는 광산에서 일하지 못했다. 이후 다시 집을 떠나 물류 회사에서 트럭 운송 기사로 일했다고 한다. “형은 그 시절 다른 소년처럼 학교보다 일터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 이런 가운데도 집 근처 부둣가에서 수영을 즐겼고, 일하면서도 복싱 클럽에서 복싱을 취미로 했다. 그러다가 친구와 군대에 자원 입대했다.”


1952년 1월 친구와 함께 군에 입대한 형은 같은 해 8월 캐나다를 떠나 한 달 뒤 왕립 캐나다 연대 소속으로 한국전쟁에 참전했다. 형은 가족에게 보낸 편지로 ‘여기서 잘 지내고 있다’고 안심시키기도 했다. 그러나 1953년 5월 3일 형은 전장에서 전사했다. 아버지가 가족을 불러 모았고 형의 전사 소식을 알렸다. 이후에도 집으로 두 차례 형이 전사하기 전 쓴 편지가 도착하기도 했다.

“모든 가족이 형의 귀환을 애타게 바랐다. 특히 나는 형을 3년 정도 보지 못해 형의 소식을 더 기다렸다. 형이 한국전쟁에 참전하기 전 어머니가 돌아가셨는데, 형마저 전사하고 아버지 혼자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고생을 많이 했다.” 

 

 

존 크리스토프(왼쪽) 씨가 아내와 함께 한국을 방문해 유엔기념공원에 안장된 형의 묘지에서 찍은 기념사진.


■형을 위한 추모 시와 편지

그의 형은 친절했고, 친구가 아주 많았다. 어떻게 군인이 돼 한국전쟁에 참전했는지 등은 형의 친구인 로이 플리치 씨가 쓴 추모시에 더 자세히 나타나 있다. 플리치 씨는 친구 제임스가 전사하자 ‘The Korean War To My Old Friend - Jimmie Christoff’라는 제목의 시로 친구를 추모했다.

추모시에는 ‘그는 한국에서 목숨을 잃었다. 지뢰밭에서 혼자’ ‘우리가 어렸을 때를 거슬러 생각해보면, 지미는 항상 장난감 총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항상 군인이 되길 원했다. 그는 “정말 재밌을 거야!”라고 말했다’ ‘내가 그날 크리스토프의 부엌에 있었는데, 지미의 아버지가 그의 아들에 관한 나쁜 소식을 전했을 때, 이 소식은 우리를 슬프게 만들었다’ ‘그는 조국을 위해 그의 목숨을 포기했다. 한국에서 젊은 인생이 끝났다. 지미를 떠올릴 때면, 나의 오랜 친구를 위한 눈물이 떨어진다’ ‘그는 절대 잊혀지지 않을 거다. 그를 추모하자’ 등의 내용이 담겼다.

제임스 크리스토프 씨의 친구인 콜레타 플리치 페너 씨가 보낸 추모 편지.

형이 전사한 지 60년이 지났지만 또 다른 친구 콜레타 플리치 페너 씨도 2015년 9월 가족에게 추모 편지를 보냈다. 이 편지에도 ‘내 마음속에 지미는 특별한 공간을 차지하고 있다. 나는 내 마음속에서 여전히 그를 볼 수 있다’ ‘지미는 그의 동생을 사랑했고, 그를 생각하는 모두에게 살아 있다. 그는 우리에게 사랑을 주었고 또 주고 있다’ 등의 내용이 적혀 있었다.

“형의 친구가 보낸 추모시와 편지 등에서 형이 친구에게 얼마나 친절했고, 좋은 인상을 남겼는지 알 수 있다. 형이 전쟁에서 돌아왔다면, 형은 아마 가족을 이뤄 좋은 아빠도 됐을 것이다.”

제임스 씨가 가족에게 보낸 사진 속 여성의 모습.

■“형은 나의 평생 영웅”

그는 평소 형이 ‘자신의 영웅’이라고 강조했다. “형이 한국을 지키는 데 자원입대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 내가 형을 얼마나 그리워하고 사랑하는지도 이야기하고 싶다. 지금까지 또 마지막까지 형은 내 평생 영웅이었음을 형에게 꼭 알리고 싶다.”

한국전쟁에 관해서는 다소 복잡한 감정을 나타내기도 했다.

“이건 전쟁이었지만 한국을 도와줄 필요가 있다고 느낀 국가들이 있어 기쁘다. 그러나 한국전쟁에서 많은 참전용사가 전사한 점은 매우 슬프기도 하다.”

한국참전용사협회 등의 지원을 받아 2008년과 2015년 두 차례 한국을 방문했던 일화를 소개하기도 했다. 그는 당시 부산 남구 대연동에 있는 유엔기념공원을 찾았고 형의 묘지를 둘러봤다.

그는 “한국인은 기회가 있으면 우리 형제와 가족이 만들어낸 희생에 감사를 표현한다. 유엔기념공원 측이 보여준 배려와 존중은 많은 참전용사의 희생을 한국인이 얼마나 감사하고 있는지도 보여줬다. 앞으로 또 한국을 방문하고 싶다”고 말했다.

존 크리스토프(왼쪽) 씨가 어린 시절 형인 제임스 크리스토프 씨와 함께 찍은 사진.